서론
처음에 해당 시험을 알게된 것은 같은 전공을 하는 고등학교 친구가 해당 자격증을 취득했다고해서, 알게되었다.
뭔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4학년 1학기 시험이 모두 끝난 후 뭔가 이제 시험은 더 이상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자기계발도 할 겸 자격증 시험을 위한 공부를 하면, 좋을 것 같아서 도전해보기로 했다!.
본론
1.점수
일단 결과부터 보자면, 90점으로 높은 점수로 합격했다!!.
공부기간은 한달정도로 잡았지만, 다른 공부도 하고 방학이기도 해서 놀면서 공부해서
실제 공부일이 한달이 되지는 못하겠지만, 틈틈히 조금씩 공부했던 것 같다!.
2.공부 방법
항상 자격증 시험을 총 3회독정도 진행했던 것 같다.
- 1회독 : 정독수준으로 모르는 개념들은 그렇구나 하며 넘어가며 대부분의 내용을 모두 읽으며 문제를 풀었다.
- 2회독 : 1회독에 비해 빠르게 넘기면서, 개념을 보고 이게 어떤 개념인지 속으로 생각했을 때, 생각이 잘 안나는 개념들을 메모장에 작성해두고, 이를 암기하였다.
또한, 1회독때 틀렸던 문제들을 체크해두고, 암기한 후 다시 풀었을 때 틀린 부분은 다시 암기했다. - 3회독 : 2회독까지 하고 문제를 두번이상 풀어보았는데, 3회독때에도 틀리거나 헷갈리는 거면 진짜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확실하게 암기했다
사실 써놓고보니, 다 이렇게 할거 같다 ㅋㅋ
그리고 약간 불안함이 많고, 완벽주의성향이 살짝 있어서, 모르는 부분이나 헷갈리는 부분이 최소가 되도록 공부했다.
아무튼, 3회독을 하면서 중간중간 블로그에 정리도 하니 복원문제르 풀거나 앞에서 본 것같은 개념등을 찾기에 편했다.
또한, 유튜브에 ADsP 강의 등을 쳐보고 데이터 전문가 포럼에 들어가서 정보를 찾아보며 공부하니 좋았다.
3.시험 후기
시험을 보러 갔을 때 생각보다 나이대가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이 많이 있었다.
처음 시험 문제를 보고 풀기 시작했을 때, 문제가 다 익숙한 문제들이었다.
민트책으로 공부했는데, 해당 책이 오탈자가 많고, 문제 해설이 불친절해서 솔직히 공부하는 입자에서 별로 였다.
하지만, 많이 추천하는데에는 이런 이유가 있었나보다 ㅋㅋ
민트책을 3회독했었기 때문에, 문제가 익숙하게 느껴졌고
난이도는 책에 있는 문제들이 더 어려웠어서 비교적 시험문제는 쉽게 느껴졌다.
결론
솔직히 처음 공부할때 만만하게 보고 시작했는데, 공부하다보니 모르는 개념이 생각보다 많아서
떨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불안했다.
그래서 더 꼼꼼하게 열심히 공부해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또, 공부하면서 민트책 욕 엄청 했는데, 문제가 비슷하게 나와서 화가 가라앉은듯 ㅋㅋ
(솔직히 해설이 너무 빈약해서 데이터전문가포럼 카페가서 찾아보고, 오탈자 수정된 것도 다 찾아봐야하는게 귀찮음...)
'자격증 > AD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3과목 - 5장 (4,5,6절) (0) | 2023.08.15 |
---|---|
[ADsP] 3과목 - 5장 (1,2,3절) (0) | 2023.08.14 |
[ADsP] 3과목 - 4장 (4,5,6 절) (시계열 분석) (0) | 2023.08.13 |
[ADsP] 3과목 - 4장 (3절 : 회귀분석) (0) | 2023.08.12 |
[ADsP] 3과목 - 4장(1,2절) (0) | 2023.08.11 |